-
증상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증세가 보이며, 심하면 다리의 힘이 약해지고 배뇨 장애 등도 생길 수 있습니다. 요통과 함께 한쪽 다리의 종아리를 따라 당기는 듯이 아프고, 저리고 시리며, 심하면 발이나 발바닥까지 통증이 있고, 감각 마비가 올 수도 있습니다.
-
현대학에서 보는 원인
허리디스크의 원인은 외상, 척추질환, 잘못된 자세 등 여러 가지입니다. 허리디스크는 허리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 수핵이 섬유테 밖으로 빠져나와 주위의 신경을 누르는 병이므로, 정확한 병명은 추간판탈출증 입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 수핵의 물이 빠지면서 퇴행하는 변화가 진행되고, 수핵을 둘러싼 섬유테가 얇아져 아주 작은 부딪힘에도 수핵이 잘 빠져나옵니다.
-
몸살림에서 보는 원인
허리가 아픈 근본적인 원인은 고관절이 틀어져 그 위에 있는 골반이 뒤틀려 있기 때문입니다. 골반이 전후와 상하 및 좌우로 뒤틀리면 엉치 주변의 근육이 굳게 되는데, 이때 신경이 눌려 허리가 아픈 것입니다. 요추 주변이 아픈 것이 아니라 엉치 부근이 아픈 것입니다. 디스크가 삐져나온 것으로 보이는 것은 골반이 뒤틀리면서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니까 벽돌처럼 생긴 요추가 제대로 정렬을 하지 못하고 입을 벌린 것처럼 헝클어져 있게 되고, 이때 디스크가 입을 벌린 사이로 밀려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병원에서는 요추를 엑스레이로 촬영해 보고 이 밀려나온 디스크 때문에 허리가 아픈 것이라고 진단을 합니다. 또는 척추관이 협착해서, 척추가 변형돼서 허리가 아픈 것이라고 진단합니다. 그러나 이런 진단에는 아무런 근거도 없습니다. 실제로 아픈 지점은 요추 부근이 아니라 엉치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병명이 붙어 있든 그것은 골반이 뒤틀려서 말려 내려갔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을 원인으로 잘못 보고 있는 것입니다. 허리디스크 또는 척추관협착증, 변형성척추증일 때 다리가 당기고 아픈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도 아무런 근거가 없습니다. 다리가 당기고 아픈 것도 고관절이 틀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틀어져 있는 쪽의 다리 근육이 굳으면 그쪽 다리가 당기고 아픈 것이고, 틀어진 쪽으로는 힘을 주지 못해 반대쪽으로만 힘을 주면 그쪽 다리 근육이 굳어서 당기고 아픈 것입니다. 양쪽이 다 틀어지면 양쪽이 다 아프게 되는 것입니다.
-
현대의학의 치료법
일반적으로 안정, 찜질, 자세교정, 허리근육 보강운동 등의 물리요법, 근육이완제 등의 약물요법, 코르셋 착용 등으로 단기간에 치료가 되는 경우가 많으나, 장기간 증세의 호전이 없으면 보다 정밀한 검사가 요구되며 간혹 원인에 따라 수술치료가 요구되기도 합니다. 디스크의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를 우선 시행합니다. 그러나 신경이 압박당하고 있는 증상이 뚜렷한 경우 튀어나온 추간판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것이 치료의 원칙입니다. 수술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현미경을 사용한 미세수술법이 주된 경향입니다. 디스크 수술은 부작용의 위험이 있고 대부분의 경우 완치가 되지 않습니다.
몸살림의 해법
허리가 아플 때에는 고관절과 엉치를 바로잡아 뒤틀려 있는 골반을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 해법입니다. 고관절과 엉치를 바로잡고, 방석숙제와 걷기숙제를 '매일 꾸준하게' 해서 허리가 똑바로 서면 다시 허리 아플 일은 없게 됩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고관절만 틀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치골이 함께 틀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고관절이 틀어지면 치골도 함께 틀어지는 것이 아니라 치골이 틀어지면 고관절도 함께 틀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때에는 치골을 먼저 잡고 고관절을 잡아 주어야 합니다. 치골을 잡아 주지 않으면 고관절이 다시 틀어지게 되기 때문에 수개월 내에 고관절이 다시 틀어져 허리도 다시 아프게 될 수 있습니다. 다리가 당기고 아플 때는 굳어 있는 다리의 근육을 풀어 주면 통증은 사라집니다. 먼저 고관절과 엉치를 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아픈 사람의 오금에 손바닥을 넣고 이를 지렛대로 삼아 어깨에 아픈 사람의 발을 올려놓고 천천히 밀었다가 거의 발이 엉덩이에 닿을 즈음에 순간적으로 힘을 주어 밀어주면 됩니다. 혼자서 풀려면 무릎을 꿇고 일어선 자세에서 방석을 둘둘 말아 오금에 끼워 넣고 주저앉아 있는 것입니다. 너무 아프면 자세를 풀고 다음 날 또 한 번 해 봅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아픈 게 없어집니다.